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홍쌍리 매화마을
- 호수공원
- 시스틴성당
- 바포레또
- 오벨리스크
- 앙코르와트
- 가지복수초
- 쏠비치
- 헤라클레스와 다비드
- 헬블링하우스
- 단풍나무 꽃
- 신구대식물원
- 베니스
- 덕수궁
- 해자
- 프랑크푸르트
- 하이델베르크
- 천지창조
- 장미
- 남산둘레길
- 바티칸박물관
- 인스부르크
- 바이욘사원
- 미켈란젤로
- 로마의휴일
- 흑조
- 하이델부르크
- 인천공항
- 캄보디아여행
- 황태자의 첫사랑
- Today
- Total
디카로 바라본 풀꽃세상
문태국 바흐 무반주 첼로 리사이틀 본문
토요일에 멀리 평촌아트홀까지 다녀왔다
요즘 바로크 음악과 '첼로의 성서'로 불리는
바흐 무반주 첼로곡이 좋아져서
마침 첼리스트 문태국이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으로 리사이틀을
한다고 해서 멀지만 평촌아트홀까지 다녀왔다.
2014년 카잘스 국제 첼로 콩쿠르 아시아인
최초 우승 이후 1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바흐 무반주 첼로곡은 작곡한 이후
약 200년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작품이다.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하고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가 13세 때 우연히 바르셀로나
헌책방에서 악보를 발견해 12년이나 연구하고
어렵게 세상에 선보였다.
6개의 모음곡으로 각 모음곡은 프렐류드 1개와
춤곡 5개로 총 36개의 곡이다.
이번 문태국 리사이틀에서 마지막 6번을
18세기 바로크 시대에 주로 사용된
피콜로 첼로로 연주했는데
현대 첼로보다 8분의 7 크기로 조금 작다.
양의 창자를 꼬아 만든 거트현으로 5줄이고
습도, 온도에 민감해서 곡마다 조율을 했다.
연주할 때 거친 숨소리 같은 잡음이 섞여 나온다.
엔드핀 없어 다리 사이에 안고 연주하는데
크기가 좀 작다고는 하지만 긴 시간 연주하려면
정말 힘들겠다.
1번 2번 인터미션 5번 6번 연주했는데
전곡을 다 듣고 갔지만
평소 1번과 6번을 주로 들었던지라
역시 1번과 6번이 귀에 쏙 들어왔다.
3번, 4번도 다시 들어봐야겠다.
앙코르곡으로 1번 프렐류드를 연주했다.
연주 중 기침하는 관객이 몇 있었다.
손수건이나 팔로 입을 막고 고개 숙이고
기침을 하는 상식을 갖췄으면 좋겠다.
특히 독주의 경우 연주자나 관객 모두
작은 소음에도 집중력이 흐트러지기 때문이다.







6번 연주 때 사용한 피콜로 첼로
연주 중에 찍을 수 없어 기사에 난 사진을 가져왔다.
'공연, 영화,음악, 전시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 트라비아타 (3) | 2024.11.24 |
---|---|
이철수화백 판화전 (2) | 2024.11.11 |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0) | 2024.10.31 |
서울시향, 클라라 주미강 (241024) (0) | 2024.10.29 |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공연 (2) | 2024.10.19 |